2025년 블록체인 게임 시장의 성장, 무엇이 달라졌나

2025년 7월, 전 세계 블록체인 게임 산업은 새로운 성장 곡선을 그리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DappRadar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블록체인 게임 월간 활성 이용자(MAU)는 3,400만 명을 돌파했다. 이는 2024년 동기 대비 52% 증가한 수치로, 전체 게임 산업 평균 성장률의 6배에 달한다. 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은 단순한 P2E(Play-to-Earn) 모델에 국한되지 않고, DAO 기반의 거버넌스, 실사용 가능한 NFT, 크로스체인 호환성 등 기술 혁신의 결실이 이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DAO·거버넌스 혁신이 촉진하는 생태계 활성화

최근 눈에 띄는 트렌드는 블록체인 게임 내에서 DAO(탈중앙화 자율조직) 기반 거버넌스가 대세로 자리잡았다는 점이다. 2025년 상반기 론칭 신작 중 83%가 DAO 운영모델을 도입했다. 대표 사례로 <Chronos Arena>는 아이템 출시, 보상 정책, 신규 콘텐츠 개발 방향 결정 등 주요 이슈를 전적으로 DAO 커뮤니티 투표에 맡겨 주목받고 있다. 커뮤니티 참여율은 월 평균 28%를 기록, 기존 Web2 게임의 길드 투표 시스템 대비 3배 이상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는 유저의 몰입도와 충성도를 극대화시키며 장기적 생태계 성장에 긍정적 신호로 해석된다.

NFT 실사용성 강화와 2차 시장 활성화

NFT의 실질적 가치와 활용성이 2025년 블록체인 게임 시장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했다. 동적 NFT(Dynamic NFT)가 주류화되면서, 아이템·캐릭터·장비 등 게임 내 NFT는 유저의 플레이 내역, 승리 기록, 참가 이벤트 등에 따라 속성이 실시간 변한다. 이는 NFT 희소성과 투자 매력을 높일 뿐 아니라 다양한 2차 시장을 탄생시켰다.

<Knight’s Journey>의 예를 들면, 명예 등급, PVP 승수, 기여도 지수를 반영해 NFT 장비의 외형과 능력치를 동적으로 변화시키며, 게임 내 2차 거래소에서 희귀 NFT 가격이 평균 41% 상승했다. 글로벌 NFT 마켓 플레이스인 OpenSea와 Magic Eden에서는 2025년 상반기 기준 블록체인 게임 NFT 거래 총액이 전년 동기 대비 2.8배 증가했다.

크로스체인 게임의 가속화와 글로벌 유저 확장

2025년 2분기 이후 크로스체인(다중체인) 블록체인 게임이 급증하고 있다. .EVM 기반(이더리움, BNB 체인 등)과 비EVM 기반(솔라나, 아발란체 등)을 아우르는 멀티 체인 전략으로 글로벌 진출이 한층 수월해졌다. 실제로 상위 100대 블록체인 게임 중 68개가 크로스체인 브릿지 및 NFT 이동성을 지원한다.

특히, <Realm Frontier>와 <Galaxy Heir>와 같은 신작들은 크로스체인 토큰 이코노미와 함께 글로벌

가입자 수가 각각 250만, 170만 명을 돌파했다. 다양한 퍼블릭 체인 간 호환성은 유저 확보 및 플레이어 경제 규모 확장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규제 명확화와 제도 환경 변화

2025년은 주요 국가들의 블록체인 게임 관련 정책이 성숙 단계에 접어든 시점이다. 미국, 유럽연합, 일본, 한국 등은 NFT, 게임 내 토큰의 법적 성격·과세 기준·자산 보유자의 권리에 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지난 6월까지 발효했다. 한국 정부는 각 게임사에 ‘자율규제+사후심의’ 도입과 더불어 게임물관리위원회 블록체인 게임 전담 심사팀을 신설했다. 이로 인해 신규 게임 심의 및 출시 소요 기간이 이전 대비 35% 이상 단축되면서, 국내 개발사의 글로벌 동시 론칭이 크게 늘었다.

미래 전망: 메타버스·e스포츠와의 결합

2025년 하반기부터는 메타버스, e스포츠와 블록체인 게임의 접점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AR Sports League>, <Meta Hero Arena> 등 AR/VR 연동 메타버스 기반 블록체인 게임들이 대회를 개최하며, NFT 토큰·보상 구조를 활용한 신개념 글로벌 리그가 시장의 저변을 넓혀가고 있다. 이와 동시에 실물경제 접목(예: 실제 커피, 스포츠 용품 교환형 NFT)이 활성화되면서, 유저와 블록체인 게임 산업 전반에 혁신의 바람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공유하다: